[불교공뉴스-경기도] 지난 196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사라진 국내 토종 철갑상어를 바다에서도 양식할 수 있는 기초 기술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경기도와 인천시 공동연구로 개발됐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지난 2012년 해수적응 시험을 위해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로 보낸 토종철갑상어 5마리가 최근 바닷물 적응시험에 성공, 현재 약 1m(5.5kg) 크기로 잘 자라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국내에서 양식되고 있는 철갑상어는 모두 담수에서만 이뤄지고 있으며 철갑상어를 대상으로 한 바닷물 적응실험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경기도는 이번 실험의 성공으로 토종 철갑상어 종 복원을 위한 첫 발을 내딛게 됐으며, 향후 철갑상어의 바다양식도 도전해 볼 수 있게 됐다며 의미를 설명했다.

이번 시험에 성공한 토종 철갑상어는 지난 2009년 북한에서 도입된 어종으로 서해에서 살다가 알을 낳으러 민물로 돌아오는 회귀성 물고기로 종 복원(인공치어생산)과 바다양식을 위해서는 바닷물 적응이 꼭 필요한 절차인 셈이다.
경기도는 지난 2009년 15cm 크기 12g 치어 1,000여마리를 북한에서 들여와 해양수산자원연구소에서 키웠으며, 이중 10마리를 바닷물 적응 실험을 위해 지난 2013년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에 보낸 바 있다.

적응시험은 철갑상어 사육 수조의 염도를 조금씩 올리는 방법으로 실시됐으며 2011년, 2012년 2차례에 걸친 실패 끝에 최근 5마리가 서해 바닷물과 같은 염도인 29.5ppt에도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됐다.

철갑상어는 과거 1억 5천만 년 전에 출현한 어종으로 캐비어를 비롯한 2조원 규모의 소비시장을 갖고 있는 물고기이기도 하다. 무분별한 남획으로 자연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자 전 세계는 CITES(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품종으로 지정하고 철갑상어의 포획을 금지시켰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양식개발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1년 5월경 한강에서 길이 2m 70cm, 무게 112kg의 철갑상어가 포획된 적이 있으며 산업화에 따른 오염과 댐 건설 등 환경악화로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환경개선으로 최근 우리나라 연안에서 간혹 잡히고 있다.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1998년 러시아로부터 담수 철갑상어를 도입해 국내 최초로 인공치어생산에 성공한바 있다. 사료시험, 밀도시험, 캐비어 가공시험 등의 다양한 시험을 통해 양식기술 개발을 완료했으며 현재는 국내 서식하다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토종 철갑상어 종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홍석우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토종 철갑상어 복원은 토종 호랑이 복원만큼이나 어려운 사업“이라며 ”향후 10여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해 이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균출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 소장은 "철갑상어 바다양식과 자원복원이 정착되기까지 경기도와 상호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