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준 환경칼럼] 사람을 살리는 '체험형 생존 교육'
[김연준 환경칼럼] 사람을 살리는 '체험형 생존 교육'
  • 김연준 기자
  • 승인 2023.03.03 0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며칠 전 ‘충북 안전 체험관’ 엘 다녀왔다.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백문(百聞)이 불여일견(不如一見)”이라는 말처럼, 백 번 듣는 것 보다 한번 보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아서 잠시 시간을 내어 찾아갔다.

그러나 안전체험관에 도착하자마자 이 곳은 “백문(百聞)이 불여일견(不如一見)”을 넘어, “백견(百見)이 불여일행(不如一行)” 이라는 말에 최적화되어 있는 체험시설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었다.

즉, 듣는 것(聞)보다는 보는 것(見)이 더 낫고, 보는 것보다는 실제로 체험(行)하는 것이 훨씬 낫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 곳에는 재난안전의 전문가인 최정예 소방관들이 배치되어,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완강기를 이용하여 밑으로 대피하는 요령과, 탈출을 위해 유리창을 깨는 방법, 비상구 찾기, 소화기 사용요령 등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도와주고 있다.

또한 교통사고 발생시 안전띠 착용의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차량 충돌 사고와 승용차에 탄 채로 뒤집히는 상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난생처음 차 안에서 거꾸로 매달려 봤는데, 교통사고가 생각보다 훨씬 위험하다는 것을 생생하게 알 수 있었다.

가장 공포스러웠던 것은 지진체험이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지진을 각 규모별로 체험할 수 있었는데, 투르키예-시리아 지진처럼 리히터 규모 7.4의 강진은 상상 이상이었다. 흔들림의 정도를 정확히 표현할 수는 없지만, ‘달리는 말 위에 앉아 있는 것’처럼 크게 들썩거려, 어지간한 건물들은 붕괴될 수 밖에 없는 정도의 어마어마한 세기였다.

이밖에도 심폐소생술도 직접 체험할 수 있고, 특히 어린이들이 안전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체험코스가 완비되어 있으며, 생존수영(Survival Swimming)을 배울 수 있는 수영장도 조만간 준공을 앞두고 있어서, 충북 안전체험관은 각종 재난 발생 시 대처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명실상부한 안전 체험의 중심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재난안전 생존체험’에 ‘충북 안전체험관’이 있다면, ‘기후위기 환경교육’에는 충북도 교육청에서 건립한 ‘환경교육센터 와우’가 있다. 

공통적으로 두 기관 모두 주입식 이론교육을 지양하고, 실제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을 살리는 체험형 생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백견(百見)이 불여일행(不如一行)처럼 가족, 친지, 직장동료 등 주변분들과 함께 필히 체험해 보시기를 권해 드린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불교공뉴스는 창간 때부터 클린광고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은 언론으로서 쉬운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공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불교공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사후원 참여는 아름다운 나비효과를 만들 것입니다.

불교공뉴스 좋은기사 후원 계좌안내

농협 301-0234-1422-61
(손경흥 / 불교공뉴스)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