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명의 폐허 속에서 꽃을 발견하는 시편들

박원희 시인의 네 번째 시집 『방아쇠증후군』이 ‘詩와에세이’에서 출간되었다. 이번 시집에서 박원희 시인은 물질적 풍요와 편리함 속에서 오히려 피폐해지는 삶의 이면을 들여다보며 진정한 희망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다. 문명이 발전하고 각종 삶의 이기가 만들어지고 우리의 삶이 편리해질수록 우리의 삶은 더 폐허가 된다. 우리의 욕망은 더욱 커지고 욕망이 채워야 할 결핍은 더 늘어나고 그만큼 없는 것들이 더 많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먹을수록 더 허기가 지는 것 그것이 바로 현대문명의 특성이다. 그리고 이런 허기가 세상을 불행하게 만들고 폐허로 만든다. 하지만 박원희 시인은 이 폐허 속에서 꽃을 발견하는 심정으로 시를 쓴다.

빈 길에서 나를 생각한다/이미 없어져버린/시간의 흐름은/내가 안고 온 모든 과거/개인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남아 있는 것은 오직 시간이 지배하지 않는 빈 길//아무것도 없이 바람만 지나가는 언덕/시선이 머물다 갈 뿐/아무것도 가지지 못한/길에서 있을 뿐//빈 길에서/기다림은/시간 아니면/공간//말없이 바라보는/언덕을 넘어오는 바람/빈 길

―「빈 길」 전문

시인은 자신이 지금 살고 있는 현실 그리고 자신이 살아온 과거의 삶 모두를 텅 빈 “빈 길”이라는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길에는 아무것도 없고 바람만이 그곳을 채우고 있다. 그런데 시인은 왜 자신이 살아온 길, 지금 자기 앞에 놓인 길이 “빈 길”이라고 느끼고 있을까? 그것은 자신이 진정 바라는 것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무엇인가를 채우기 위해 일을 하며 돈을 벌며 무엇인가를 만들며 살고 있다. 그 채우기 위한 무엇을 흔히 욕망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 욕망은 채워지지 않는다. 아무리 뭔가를 해서 채우더라도 항상 뭔가 더 부족하다는 결핍감을 메꿀 수 없다. 그리고 이 욕망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내 것이 아니다. 남들이 또는 사회가 나에게 강요하는 욕망일 뿐이다. 시인은 이 모든 가짜의 욕망을 지우고 세상을 보고 있다. 그럴 때 세상은 시간과 공간을 기다림만이 채우고 있는 “빈 길”이 된다. 기다림은 없는 것을 인식하는 행위이다. 결국, 이 “빈 길”은 없는 것들이 차지하는 공간이다. 시인을 포함한 우리 모두는 이 채워지지 않는 욕망의 빈 공간, 즉 “빈 길” 위에 서 있다.

■ 시집 속의 시 한 편

손가락 하나 고장 나 버렸다

병원에 가니 몸에 맞지 않는 일을 해서

무리해서

근육이 인대가 부어서

몸이 못 견뎌서

그렇단다

손이 손가락이 고장 나

펼 수 없다

약속하고

가락지 끼우던 손가락이 펴면 아프다

접으면 펴지지 않는다

누군가는 아무렇지 않게 했던 일

누군가는 매일 살기 위해 하는 일

하다가

손가락이 고장 나 버렸다

병원 가서 물어보니

무리해서

몸에 맞지 않는 일을 해서

막일

아무나 하지 못하는

막 휘갈기고 싶은 세상

총 하나 갖지 못한 몸

그깟

방아쇠증후군

―「방아쇠증후군」 전문

■ 시인의 말

나는 잠깐 서 있었다

지나가는 것 앞에서 나는

느리게 아주 느리게

흘러 간 것 같은데

모든 것이 지나가 버렸다

나 혼자 남은 시공을

두리번거린다

나는 아주 잠깐 서 있었다

모든 것이 지나가 버리고

2022년 가을

박원희

■ 박원희

충북 청주에서 태어나 1995년 『한민족문학』으로 등단하였다. 시집 『나를 떠나면 그대가 보인다』, 『아버지의 귀』, 『몸짓』이 있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