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과장 김원진

 

[불교공뉴스-제주도] 과거 우리 한국인들의 국민생선이였던 명태

1980년대만 해도 명태는 동해에서 연평균 어획량이 7만톤에 달했 으나, 이제는 동해에서 씨가 말라 단 한 마리도 잡히지 않아 국내 에서 유통되는 명태 대부분은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냉동상태의 동태로 주로 러시아에서 수입되고 있다. 이는 술 안주로 인기가 좋다하여 명태새끼인 노가리의 남획과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동해 에서 자취를 감춰버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상당기간 동안 명태의 양식기술개발 을 해오면서 지난해 10월에는 세계최초로 종자생산에서부터 상품 으로써의 명태성어까지 완전양식에 성공함으로써 싱싱한 국산생태 를 다시 맛보게 될 날이 멀지 않은 것 같다.

문제는 명태 뿐만이 아니라 갈치, 고등어 등 어획량이 급감하는데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잡힌 생선이 923,000톤으로 어 업생산량이 100만톤 밑으로 떨어진 것은 1972년 이후 44년만이다.

특히나, 어업장비와 어법이 발달함에도 어선어업생산량이 1986년 이후 계속하여 하락추세에 있는데 원인은 어린새끼까지 포획하는 무분별한 남획과 중국 불법어선들의 싹쓸이 조업이 가장 큰 원인 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렇게 남획된 어린새끼고기의 수요처가 있는 것도 남획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법으로 금어기설정이나, 잡을 수 없는 금지체장(주둥이 부터 꼬리시작점까지의 길이)으로 해결 할 수 있는 시기가 지난 것으로 생각된다. 생선이 건강식이라는 인식으로 수요의 급증과 새끼고기 를 잡아도 팔수가 있는 시장이 있어 금어기나 금지체장으로 제한 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은 양식생산인데 어린새끼고기를 사료 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배합사료(어분, 곡물 등을 섞어 만든 사료) 사용을 법제화 하여 어린새끼고기의 수요를 차단하는 최적 의 방안일 수 있다. 실제로 이미 양식장 일부분은 현장에서 배합 사료로 어류를 키워내고 있다.

앞으로, 어선어업생산량은 크게 줄고 있고, 이를 대체하는 양식생 산량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고급어종을 중심으로 양식 주 요국들은 국가정책으로 지원에 나서고 있는 형편을 볼 때 우리도 최소한 이제는 제도권안에서 배합사료로 어류를 양식함으로써 우 리나라 연안의 어린새끼고기가 남획되는 이유가 없도록 법으로 강제하여 다시는 우리의 국민생선이였던 명태와 같은 아픈 수산 역사가 다시 쓰이지 않도록 다같이 고민할 때라고 생각된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