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자영업자 노린 사칭사기’ 확산… 충북경찰, 도민 보호 총력 경보

공공기관 위장한 ‘대납 요청’ 기승… 위조 신분증까지 동원
특정업체 물품 구매 유도 뒤 대포통장 입금… 피해 확대 우려

충북경찰청
충북경찰청

자영업자를 겨냥한 공공기관 사칭 대납 사기가 빠르게 퍼지며 충북경찰청이 도민들에게 즉각적인 주의를 요청했다.

◇ 공공기관 이름 도용해 접근… “예약했다”는 연락부터 시작

충북경찰청(청장 이종원)은 26일 공무원·군부대·공기업 등을 사칭해 연락을 취한 뒤 물품대금을 대신 입금하도록 유도하는 노쇼사기가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기범들은 식당 예약, 공사 의뢰 등 정상적인 문의처럼 연락을 시작해 피의자의 경계심을 약화시키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다.

특히 충북에서도 유사한 제보가 접수되면서 지역 내 자영업자 피해가 확산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된다.

◇ “대금 한 번에 처리해주겠다” 미끼… 위조 명함까지 보내 신뢰 조작

이들 사기범은 피해업체가 취급하지 않는 물품을 대신 구매해 달라고 요구하며 특정업체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대포통장 입금을 유도한다.

“대금은 한꺼번에 결제할 것”이라는 말로 경계를 누그러뜨리는 동시에 위조 명함, 신분증, 사업자등록증까지 보내 신뢰성을 높이는 치밀함을 보인다.

지정업체는 사실상 사기범이 운영하는 연락처로, 돈을 받는 즉시 잠적하는 방식이 반복되고 있다. 경찰은 이러한 수법이 누구든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 경찰 “기관번호 직접 조회해야”… 카드뉴스로 피해 예방 홍보

경찰은 사기범이 알려주는 관공서 전화번호나 부서 정보는 대부분 허위라며 반드시 해당기관 번호를 스스로 검색해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상황이라면 즉시 112에 신고하는 것이 피해를 막는 핵심 대응책이라고 조언했다.

충북경찰청은 실제 발생 사례를 토대로 제작한 카드뉴스를 배포하며 도민들에게 가족·지인과 공유해 달라고 요청하는 등 지역사회 전체의 경계 의식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