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대학혁신지원–기관평가·RISE’ 한데 묶는다… 새로운 연계 전략 부상

대전서 26일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책임자워크숍 개최
3주기 사업 중반 진단… 평가·회계·지역혁신까지 연결한 방향 제시
수도권 권역 “자율혁신 모델 강화해야… 국민 소통도 과제”

26일 대전에서 열린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책임자워크숍에서 전국 대학 책임자들이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공뉴스
26일 대전에서 열린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책임자워크숍에서 전국 대학 책임자들이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공뉴스
이주열 대학혁신사업총괄협의회장이 26일 대전에서 열린 대학혁신지원사업 책임자워크숍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공뉴스
이주열 대학혁신사업총괄협의회장이 26일 대전에서 열린 대학혁신지원사업 책임자워크숍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공뉴스
 최동명 한국연구재단 대학교육실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공뉴스
 최동명 한국연구재단 대학교육실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공뉴스
신열 목원대학교 부총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공뉴스
신열 목원대학교 부총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공뉴스

2025년 대학혁신지원사업이 기관평가인증, 지역혁신체계(RISE)와의 연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재정비되고 있다.

26일 대전에서 열린 책임자워크숍에서는 대학혁신을 개별 사업이 아닌 ‘연동·정합성 기반의 통합 구조’로 바라봐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 “혁신사업의 힘, 평가와 RISE의 연결에서 나온다”

이날 워크숍은 대학혁신지원사업총괄협의회 주최, 한국연구재단 후원으로 열렸다.

이주열 총괄협의회장은 환영사에서 “3주기 사업을 추진 중인 138개 대학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혁신사업은 기관평가인증과 RISE라는 두 축과 만날 때 실질적 동력이 생긴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일부 대학은 단장 교체 등으로 사업 이해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회계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내년 1월 열리는 성과포럼에서 지금까지의 변화와 성과를 집약적으로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 평가·회계·RISE 흐름 공유… “대학 전략 체계 점검 필요”

워크숍에서는 대학이 당면한 핵심 쟁점을 한 자리에서 짚는 시간이 이어졌다.

이석열 한국대학평가원장은 대학기관평가인증 흐름과 교육혁신의 방향을, 최동기 한국연구재단 팀장은 올해 혁신지원사업 추진계획과 회계 유의사항을 설명했다.

오후에는 김봉문 중앙RISE센터장이 초청강연을 통해 “지역과 대학이 공동의 혁신 구조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접근”을 제안했다.

참석자들은 “3주기 사업을 어떻게 운영할지 명확한 이정표를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 수도권 활동보고 “대학 주도의 혁신 모델, 지속가능성 확보해야”

마지막 순서에서는 김희연 수도권주도권역협의회장이 권역 활동보고를 발표했다.

수도권 대학 인식조사 결과와 국민제안 활동에 기반해 △대학 중심의 혁신체계 강화 △정책 효과에 대한 공공 커뮤니케이션 확대 필요성이 제시됐다.

특히 권역 내 대학들의 실제 협력 사례가 공유되면서 “권역별 상호보완 생태계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가 핵심 과제로 부각됐다.

한 참석자는 “자율혁신 모델이 실질적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