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공뉴스-경기도] 경기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조직에 관한 최초의 종합적인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최석현 연구위원은 <경기도 사회적경제 실태와 정책방향>을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경영과 지역사회 기여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경기도의 지원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2007년 ‘사회적기업지원법’,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면서 2013년 8월 현재 협동조합 366개, 인증사회적기업 131개, 예비사회적기업 240개, 마을기업 148개 등 경기도내에서 다양한 사회적경제 조직이 활동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 중에서 161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활동실태를 조사했다.

조사대상 사회적경제조직의 평균고용인원은 22.4명으로 제조업은 17.2명, 사회서비스업은 20.5명, 기타서비스업은 27.5명이다. 이중 정규직 근로자는 평균 9.3명으로 전체 유급근로자의 약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유형별 정규직 비율은 인증사회적기업 28.0%, 예비사회적기업 47.8%, 사회적협동조합 53.8%, 일반협동조합 70.4%, 마을기업 58.8%의 순으로 나타나, 협동조합과 마을기업의 고용의 질이 사회적기업보다 높았다.

조사대상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의 주요 상품/서비스 판매지역은 경기도 전역이 전체의 39.8%로 가장 많았고, 소재 시/군지역 24.8%, 서울 및 수도권 전역 24.8%로 전체의 2/3가량이 경기도 주민들만을 대상으로 사업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활동으로 얻는 수익금의 사용처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의 46.0%가 기업경영에 다시 재투자한다고 응답했으며, 지역사회에 직접환원 24.0%, 유보이윤으로 적립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11.4%로 나와 아직 이윤창출을 통해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업을 진행하는 사회적경제조직의 비중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석현 연구위원은 “경기도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은 정부의 사회서비스 위탁사업 진행 및 지역취약계층 고용에 활동 초점을 두고 있으며, 사업을 통해 창출한 이윤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독거노인 지원, 경력단절여성 직업훈련 지원 등 직접 공익사업을 진행하는 단계까지는 나아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사회적경제조직의 직접적 지역사회 기여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의 경영능력에 대한 구성원의 자체 평가 결과,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의 사회적 목적에 대한 비전 수립, 직원의 경영 의사결정 참여 부문에서 6점 만점에 각각 평균 4.8점, 4.5점을 기록해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반면, 직원의 급여대우에서의 경쟁력, 마케팅 능력에서 각각 평균 3.19점과 3.22점을 기록해 경영상 취약점으로 지목되었다. 조직 운영시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한 질문에서도 조사대상의 50.9%가 조직의 운영자금 부족을 지목했으며, 사업적 능력 부족 19.3%, 전문성을 갖춘 인력 부족 13.0%가 뒤를 이었다.

최석현 연구위원은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경기도의 경영컨설팅 프로그램 강화, 신생 사회적경제조직의 안정적인 시장 안착 중간지원조직을 통한 금융, 전문인력지원 강화 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면서, “도와 기초지자체의 사회적경제 담당조직의 지원역량 향상, 종업원 및 조합원의 고용의 질 보장, 이해관계자들의 경영 의사결정 과정 참여 보장, 전문화된 사업영역 발굴, 사회투자채권 등 금융지원 및 사회적경제조직의 재무능력 향상 등 5대 전략과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