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디지털재단(강요식 이사장)은 오는 9일부터 ‘디지털 사용성 평가 및 개선 지원 사업’에 참여할 서울 소재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보유기업 모집에 나선다. 지난해 3개 서비스를 시범으로 운영한 이 사업은 올해는 20개 서비스를 대상으로 대폭 확대 지원한다. 모집기간은 3월 9일(목)까지이다.

해당 사업은 재단에서 추진하는 약자와의 동행 사업 중 하나로서, 기존 민간기업의 디지털 서비스를 고령층, 장애인 등 디지털 약자 눈높이에 맞춰 모든 세대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마련되었다.

재단은 해당 사업의 효용성을 사전 검증코자, ’22년 3개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시행한 바 있으며, 총 150여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시선추적 등의 사용성 분석, 대면 인터뷰 등을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 서비스를 사용할 때 보완이 필요한 부분들을 도출해냈다.

그 중, 2030세대 중심의 취미 큐레이션 앱서비스 ‘하이픽커(리버스마운틴)’ 의 경우, 4050세대 대상으로 사용성 조사를 통해 전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직관적인 UI 개선점들을 도출하고,

시각장애인 전용 도보 내비게이션 ‘G-EYE(엘비에스테크)’의 경우, 전맹과 저시력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서비스를 테스트를 통해 불편 사항을 파악하고 서비스를 개선중이다.

금년 사업의 지원 자격은 서울 소재의 디지털 콘텐츠?서비스 기업으로, 시장에 출시하기 전이나 기 상용화된 디지털 서비스(앱 혹은 웹)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고령층 등 사회적 약자 타겟의 포용 서비스일 경우엔, 작년과 동일하게 선정평가 시 가점이 부여된다.

선발된 기업은 서비스별 특성에 따라 ▲청?장년층, 고령층 등으로 구분한 시민 사용자 평가단 구성 ▲디지털 사용성(시선분석, 뇌파, 심박측정 등) 분석 ▲UX 분야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자사 솔루션의 사용성 개선방향을 담은 가이드 지원을 받게 된다.

디지털 사용성 평가에 활용되는 6가지 방법은 ▲행동관찰 ▲시선추적 ▲뇌파측정 ▲행동PPG(심박수)측정 ▲심층인터뷰 ▲온라인 설문조사 등이며, 작년과 다르게 온라인 조사방법이 추가되어, 100여명 다수의 사람을 대상으로 의견수집이 필요할 경우 지원받을 수 있다.

‘행동관찰’은 서비스의 효율성(속도, 오류, 실수극복), 효과성(최초성공, 인지성, 이해성) 등 디지털 서비스 활용역량 측정방법이다.

‘시선추적’은 서비스 페이지별 사용자의 응시 시선의 점유율, 체류시간, 응시유형 등 정량적 동적 분석을 위한 측정방법이다.

‘뇌파측정’은 사용자가 서비스 사용시에 느끼는 자율신경계의 변화 등 무의식적인 감성 반응을 측정방법이다.

‘PPG(심박수)측정’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할 때 느끼는 흥분, 긴장 등 심리적 변화를 통한 심박수를 측정방법이다.

‘심층인터뷰’는 진행자와 함께 특정 경험을 한 사람들이 모여 서비스 사용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 의견을 공유하며 논의하는 인터뷰 형태의 조사 방법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대면 인터뷰와는 다르게 다수의 소비자들에게 온라인 상으로 의견을 수집하는 정량 측정 방법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디지털재단 누리집 > 소통마당 > 사업공고( https://sdf.seoul.kr/business-announce)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원 서류는 담당자 E-mail로 제출하면 된다.

서울디지털재단 강요식 이사장은 “아직도 실생활에서는 모바일 앱이나 키오스크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다”며, “민간에서 개발하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를 디지털 약자들도 모두 편리하게 사용하여 서비스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재단이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서울디지털재단은 해당 지원사업을 통해 개선된 서비스를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에 일정 심사 기준을 마련하여 ‘(가칭)서울형 디지털 사용성 인증 제도’ 도입을 검토 중이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