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석한 두뇌와 정교한 솜씨를 가진 현 인류가 지구상에 이룩해 놓은 찬란한 문명은 참으로 큰 축복이다. 특히 산업혁명 이후 비약적인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부흥은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서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지상천국을 만들었다.

그런데 좋음이 있으면 나쁨이 있고, 빛과 그림자는 공존하는 것이 삼라만상의 이치이듯, 풍요로운 축복의 이면에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바로 온실가스이다.

유한한 지구에서 무한한 행복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욕심이 '공유지의 비극' 처럼 과다한 화석연료의 사용을 부추겼고, 이것이 검은 그림자가 되어 기후위기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기후위기는 젠가(Jenga) 놀이와 비슷하다. 아주 작은 변화와 징후들이 계속 누적되지만, 결정적인 순간이 오기 전까지 전체적인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다가, 어느 한 순간 티핑포인트(Tipping point)가 되면 한꺼번에 무너지게 되는 것이다.

지구의 온도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해서 이미 1.09°C 가 상승했고,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제6차 평가 보고서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상태가 지금처럼 계속될 경우 2040년 이전에 위험수준인 1.5°C까지 도달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제는 '탄소중립의 시대' 이다. 이산화탄소와 메탄 등으로 이루어진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이 80억 인류의 절박한 공통 숙제가 됐다.

지난해 11월 영국 글래스고우에서 열린 제26회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중국, 러시아, 인도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미국, EU 등 대부분의 국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zero)을 실현하겠다고 약속했고, 우리나라도 이에 선제적으로 적극 동참하고 있다.

2050년 탄소중립 실현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2030년의 중간실적이 중요하다. 이에 우리나라는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40%까지 줄이겠다고 전 세계에 선언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각 부문별 감축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기후위기는 후진국이나 취약계층에 더 혹독하고, 탄소중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도산하는 기업과 일자리를 잃는 계층이 생길 수 있기에 공정전환이 중요한 해결과제이다.

또한 추진주체별 역할분담도 중요하다. 개인, 단체, 기업, 정부가 긴밀히 공조하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속도감있게 추진돼야 하며, 중앙정부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지방정부(광역, 기초)의 역할이 한층 더 중요해지고 있다.

충청북도는 지난해 탄소중립을 선언(2021.4.15)했고, 7개 분야별 탄소중립 추진단 전략회의를 통해 추진상황을 수시로 점검하면서, 올해에는 관련 조례 제정과 온실가스 감축 인지예산제도 시범실시, 탄소중립지원센터 지정 등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동시에 각 인벤토리별 실제 감축감축에 매진할 계획이다.

기후위기는 세대간 갈등도 유발시키고 있다. 현 세대는 탄소중립 실현을 통해 이 갈등을 해소하면서 후손들에게 안전한 지구환경을 물려줘야 한다.

자칫 탄소중립에 실패할 경우, 인간은 후손들에게 위험요인을 남겨주는 미증유의 종족이 될 가능성이 높다.

"더 늦기 전에" 행동으로 실천해야 하는 이유이다.
"환경은 실천"이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