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가 혼자에게>에서 배우는 독서경영

저자 : 이병률, 출판사 : 달

이 책은 저자가 5년 만에 펴내는 산문집이다. 저자가 가장 잘 말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잘 아는 대상인 ’혼자‘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 소재로 하고 있다. 시인으로서 혼자 책상 앞에 앉아 있는 시간, 여행자로서 혼자 여행을 떠나는 일, 그렇게 자연스럽게 오랜 시간 동안 ‘혼자’에 익숙한 저자가 이야기하고 있는 혼자의 자세와 모습을 통해 혼자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혼자만의 이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작가의 글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을 여행하면서 특유의 시선으로 찍어 둔 사진을 통해 ‘나만 할 수 있는 일, 나만 가질 수 있는 것들은 오직 혼자여야 가능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다. 사진을 통해 전해지는 사색이 또 다른 느낌을 선물해 준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신을 ‘혼자 사람’으로 지칭하고 있다. 그만큼 혼자 보내는 시간이 오래 길었고 그 시간을 누구보다 풍성하게 써 왔기 때문이다. 책 속에서 저자는 자연스럽게 혼자 있고, 혼자 여행하고, 혼자 걷고, 혼자 적막의 시간에 놓인 채 그 시간을 귀하게 활용하고 있다. 특히 ‘혼자’인 자신과 ‘혼자’인 타인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책에서는 산행, 작은 통나무집 한 채, 작업실, 게스트하우스, 기차나 종점으로 가는 버스 안에서 혼자인 채로 남게 될 때의 이야기를 만나 볼 수 있다. 또한 혼자를 잘 가꾸어가는 사람들과의 만남과 생애 첫 해외여행의 기록, 그리고 라디오 작가로 일했던 때의 방송 원고들을 살피며 자신의 ‘처음’들을 되짚어보는 일까지 오로지 혼자이기에 오롯이 깊어지고 누릴 수 있었던 시간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다.

당신이 혼자 있는 시간은 분명 당신을 단단하게 만들어준다. 어떻게 혼자인 당신에게 위기가 없을 수 있으며, 어떻게 그 막막함으로부터 탈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혼자 시간을 쓰고, 혼자 질문을 하고 혼자 그에 대한 답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사람을 괴롭히기 위해 닥쳐오는 외로움을 어쩔 수 없는 것이다. 당신은 그 외로움 앞에서 의연해지기 위해서라도 혼자 있는 시간을 즐기면서 써야 한다. 혼자 있는 시간을 목숨처럼 써야 한다. 그러면서 쓰러지기도 하고 그러면서 일어서기도 하는 반복만이 당신을 그럴듯한 사람으로 성장시킨다. 비로소 자신의 주인이 되는 과정이다. 물론 자기 안에다 주인을 ‘집사’로 거느리고 사는 사람이다. - <인생의 파도를 만드는 사람은 나 자신> 중에서

좋아하는 것도 사랑하는 것도 모두가 혼자, 시간을 몰아가서 어느 한 결승점에 도달할 수 없다는 면에서 그 둘은 어렵다. 좋아하지 않고 살기도, 사랑하지 않고 살기도 어렵다. 그 둘의 미묘한 뒷면과 뒤끝을 분간하는 일까지도 여전히 어려운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그 둘의 세계를 받아들이지 않는 상태를 산다면 삶을 방치한 채 꽤 오래 지루하게 시간을 죽이는 일에나 매달려야 한다는 것도 우리는, 사실 모르고 있지 않은 것이다. - <좋아하는 것도 사랑하는 것도 모두가 혼자> 중에서

산은 내게 일방적으로 힘겨움을 쏟아붓는 사람의 왼쪽 어깨일 수도 있겠고, 사랑한 사람과의 이룰 수 없는 세계일 수도 있겠다. 언제쯤 닥쳐올 사람과의 감정의 둔덕일 수도, 내게 많은 것을 쏟아놓고 홀연히 사라진 어떤 사람의 가슴팍일 수도 있겠다. 나는 그렇게 한 사람을 넘기 위해 산에 오르고 정상에 오른다. 한 사람을 생각하면 하나도 힘들지 않다.

그리고 그 한 사람의 꼭대기가 비로소 평평해지면 그때 나는 그 한 사람의 세계를 가졌노라고 말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는 것이다. - <나는 능선을 오르는 것이 한 사람을 넘는 것만 같다> 중에서

종교가 간절한 시대는 지난 것인지 사람들은 이제야 시간을 믿기 시작했다. 시간이 우리에게 기회를 주고 시간이 우리에게 보상을 해 준다고 믿기로 한 것이다. ‘혼자 있는 시간’을 잘 쓰는 사람 말고 ‘혼자 있는 시간’을 잘 쓰는 사람만이 혼자의 품격을 획득한다. ‘혼자의 권력’을 갖게 된다.

혼자 해야 할 것들은 어떤 무엇이 있을지 혼자 가야 할 곳도 어디가 좋을지 정해두자. 혼자 잘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도, 혼자 잘 지내서 가장 기뻐할 사람이 나 자신이라는 것도 알아두자. 이것이 혼자의 권력을 거머쥔 사람이 잘하는 일이다. - <왜 혼자냐고요 괜찮아서요> 중에서

혼자 살아도 잘 살 수 없을 것 같은 네가 누군가와 같이 살게 되는 것을 행복이라고 믿는 자체가 나에겐 어려웠다. 단순하고 고루한 희망만 있을 뿐 이렇다 할 의지와 내용을 갖추지 못한 너는 금방 바스라질 것 같은 사람인데도 그걸 냉정히 바라본 적 없이, 세상이라는 바다 앞에 서 있는 것이다. 네가 디자인한 옷이 유명 디자이너의 이름으로 번번이 완판 되듯이 그렇게 허망하게 말이다. 이젠 무엇도,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살겠다는 선언처럼 그렇게 서늘하게 말이다.

그때 너는 서른네 살이었다. - <너는 너의 세계에 빠져서> 중에서

중심은 중요하다. 중심이 있음으로 ‘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면에서 아주 그렇다. 한 개인에게도 그렇지만 여러 사람이 어울려 친구가 될 때도 그 중심은 기둥이 되고 지붕이 된다. 플로리스트는 꽃다발을 만들 때 가장 생기가 좋은 꽃을 중심으로 해서 나머지 꽃들을 둘려 묶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를 휩쓸고 지나간 많은 ‘친구’들은 왜 오래 묶이지 못하고 깨지거나 그중 일부만 남게 되었을까. - <우리 서로가 아주 조금의 빗방을이었다면> 중에서

우리가 서로의 가시에 찔릴까봐 서로의 안으로 발걸음을 옮기지 않았다면, 우리가 자주 추운 것이 얼음 속에 언 채로 갇혀 있는 나를 꺼내주는 뭔가가 없기 때문이라면, 미친 사람처럼 매일 아침을 여행으로 시작하라. 그러면 우리의 하루는 춤을 추면서 무대 위로 향한다. 남들이 보는 내 뒷모습도 달라 보인다. 손 씻으며 거을을 보더라도 지나치지 않고 자신에게 말을 걸게 된다. “어때? 너도 여행을 할 때면 녹아서 사라져버리는 기분이 들지?”라고. - <매일 밤, 여행을 마친 사람처럼 굿나잇> 중에서

이 삶을 장악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 인생길 위에서 누구를 마주칠 것인가 기다리지 말고, 누구를 마주칠 것인지를 정하고 내 인생길 위에 그 주인공을 세워놓아야 한다. 만나고 싶은 사람은 만나게 되어 있다는 믿음이 우리를 그 사람 앞에까지 ‘데려다준다’. 그리고 그 믿음의 구름층은 오래 우리를 따라오면서 우리가 지쳐 있을 때 물을 뿌려주고, 우리가 바싹 말라 있을 때 습기를 가득 뿌려준다.

청춘은 이 삶을 압도해야 한다. - <만나고 싶은 사람은 만나게 되어 있다> 중에서

* 전박사의 핵심 메시지

요즘 세태를 보면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점점 늘어가고 있다. 개인적인 능력이 뛰어나다보니 스스로 독립을 통해 혼자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어떤 한 곳에 묶여있기 보다는 자유롭게 다니며 자신의 일과 삶을 즐기는 풍속이 늘어가는 것이다. 이런 모습은 점점 더 늘어갈 것으로 보인다.

혼자의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것은 자신만의 법칙이 있어야 될 것으로 보인다. 규칙내지는 법칙이 없다보면 무질서한 삶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혹자는 무질서도 혼자의 삶의 일부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혼자의 시간을 갖고 생활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질서와 자신만의 철칙이 필요한 것이다.

옛날의 선조들도 혼자 있을 때 몸을 조심하라는 신독(愼獨)을 강조하셨다. 혼자 있을 때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해야 된다는 의미이다. 결국 자신만의 철칙을 지키면서 생활하셨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여행을 통한 자신과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스스로 자신을 찾아가는 모습 속에서 많은 것을 깨닫게 해주고 있다. 점점 늘어나는 혼자만의 삶 속에서 슬기롭게 살아갈 수 있는 노하우를 충분히 배울 수 있는 한 권의 책이라 생각된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