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18세기 조선후기 도성대지도와 '16년 지적도를 전부 일일이 비교‧대조해 당시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 한양도성 내 옛길 620개를 찾아냈다. 내사산, 하천 등 자연지형의 조화 속에 오랜시간 켜가 쌓여 형성됐지만 인구증가, 한국전쟁, 도심재개발 등으로 도심부에서 점점 사라져 드러나지 않았던 길들을 발굴해 낸 것. 특히 발굴에 쓰인 도성대지도는 현존하는 도성도 중 가장 커 자세하고 정확하게 표기돼 있다..

도성대지도(180×213cm) 도성 내 길과 방계, 관아, 교량, 사적 등의 명칭과 위치가 자세하고 정확하게 표기돼 있다. 기록시기는 1753~1764년(영조 29~40년)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당시 도성대지도는 축척이 없던 만큼 조선후기 옛길의 모습이 남아있고 최초로 축척을 사용한 1912년 경성부 지적원도를 함께 활용했다. 아울러 1910년 전후 일제강점시대 도시계획으로 만들어진 길은 제외하고 선조에 의해 형성된 한양도성 내 고유의 길로 한정해 발굴했다. 해당 시기에 대한 기록은 도성대지도에 나타나있다.

서울시는 옛길 620개를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해 천년고도 서울의 역사적 결을 이어나가고 골목길 재생사업과도 연계해 원형 그대로의 모습을 최대한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시민들이 옛길을 볼 수 있도록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옛길 탐방 프로그램도 개발한다.

첫째, 과거 문헌은 수집‧정리하고 620개 서울옛길의 현재 모습은 사진과 영상으로 남기는 ‘서울옛길 영상기록화사업’을 진행했다.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역사도심 옛길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서울시는 ‘역사도심 기본계획('15)’을 시작으로 기존 문화재 중심의 보존과 관리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범위를 확대해 옛길, 옛물길, 근현대건축자산, 도시평면 등을 역사도심의 주요한 역사문화자원으로 포함해 관리하고 있다. 지난 '16년부터는 후속사업으로 ‘서울옛길 영상기록화사업’을 추진했다.

시는 옛길의 형성‧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를 위해 고지도, 고문서 등 과거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했다. 현재의 모습은 고화소 사진촬영, 스테디캠 카메라를 이용한 양방향 4K-UHD 영상으로 기록을 남겼다.

둘째, 사진‧영상 자료를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한다. 다양한 스토리를 발굴해 책자를 발간하고, 옛길탐방 프로그램도 개발해 시민들에게 옛길의 가치를 공유하고 확산시킨다.

셋째, 서울옛길을 중심으로 일터, 삶터, 놀터가 어우러진 소규모 방식의 ‘골목길 재생사업’과의 연계도 추진한다.

‘골목길 재생사업’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등 일정 구역을 정해서 ‘면’ 단위로 재생하는 기존 도시재생사업과 달리, 골목길을 따라 1km 이내의 현장 밀착형 소규모 방식의 ‘선’ 단위 재생사업이다. 현재 용산구(후암동 두텁바위로40길)와 성북구(성북동 선잠로2길) 2곳 골목길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해 추진중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서울옛길 가운데 시민들이 방문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길 12경을 선정, 시청 1층 로비에서 사진‧영상을 전시하는 <서울옛길 12경>을 개최(3.14~27)한다.

도성대지도를 기초로 조선후기 한성부에 주요하게 사용되던 대로와 중로 중 현재까지 조선시대 길의 형태가 남겨진 길을 <서울옛길 12경>으로 선정했다.

12개의 옛길은 지형에 따라 형성된 남북방향의 물길 중심의 옛길과 동서방향의 고개길이 대부분이다. 청계천을 중심으로 청계천 이북의 인왕산, 북악산에서 시작된 물길 중심의 옛길과 청계천 이남의 남산에서 시작된 물길 중심의 옛길이다. 동서방향의 고개길은 현재 많은 부분 훼손되었지만 일부구간 남겨져 있다.

서울옛길 12경

① 옥류동천길 : 인왕산을 바라보며 풍류를 즐기던 옛길

② 삼청동천길 : 옛길의 아름다움과 예술이 공존하는 거리

③ 안국동천길 : 명성황후의 생가 감고당이 있던 길

④ 제생동천길 : 한옥의 옛 정취가 살아있는 길

⑤ 북영천길 : 창덕궁 담을 따라 이어지는 옛길

⑥ 흥덕동천길 : 조선시대 성균관을 지나는 옛길

⑦ 정동길 : 대한제국의 역사가 살아숨쉬는 길

⑧ 남산동천길 : 문화와 예술, 쇼핑을 대표하는 상업거리

⑨ 필동천길 : 남산골 한옥마을로 이어지는 옛길

⑩ 묵사동천길 : 중부시장과 방산시장을 지나는 시장길

⑪ 진고개길 : 남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고이던 옛길

⑫ 구리개길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약방거리

한편, 서울은 어느 도시보다도 물길이 많은 도시였다. 역사도심 한가운데 청계천이 흐르고 도성의 북쪽 백악산, 인왕산과 남쪽 목멱산에서 흘러내린 많은 냇물들이 청계천으로 합류됐다. 냇물들은 자연스럽게 동네와 동네의 경계를 이뤘다.

서울 역사도심은 자연과 인간의 합일을 시도했던 조선시대 유교적 원리에 따른 계획도시로 건설됐다. 한양천도와 함께 새롭게 만들어진 계획도로와 내사산에서 흘러내리는 물길 양편으로 자연스럽게 생겨났던 길들이 서로 섞이면서 점차 복잡한 서울의 옛길들이 만들어졌다.

서울의 옛길은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크게 변하지 않고 유지돼 왔지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일제가 도시개조를 위해 역사도심 내 냇물들의 복개를 진행하면서 옛길도 함께 사라져버리고 넓은 도로가 생겨났다. 최근 100년 동안의 산업화, 근대화, 도시화로 서울은 많은 변화를 겪게 됐다. 특히 6.25 전쟁의 폐허 속에서 진행된 도시개발은 서울을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소중한 도시 문화 자원들이 사라져버리고 많은 옛길들이 없어지거나 잊혀졌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서울옛길은 천년고도 서울의 역사와 삶이 깃든 소중한 자산”이라며, “다시 찾아낸 서울옛길은 유지·보전에서 나아가 골목길 재생사업 등과 연계해 가치를 확산 할 계획이다. 천년고도 서울옛길을 거닐며 옛길 주변에 남아있는 다양한 시대의 건축물, 장소와 함께 역사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보행중심의 역사도심이 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