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지구와 인류가 당면한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미래를 준비하고자 마련한 “평창포럼 2018”이 8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출범식을 가졌다.

평창포럼 2018은 ‘지구 환경과 인류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결속’을 주제로 정부, 강원도, UN 관계자, NGO, 지구과학, 탄‧수소, 올림픽 등 각 분야별 전문가와 시민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평창포럼의 성대한 시작을 알리는 출범식과 3개 세션, 2개의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평창포럼의 첫째 날인 7일에는 ‘지구의 미래, 인류의 미래’를 주제로 카오스재단과 함께 과학콘서트가 진행되었다. 에릭 스미스(세계적 권위의 Santa Fe Institute 선임연구원)의 특별 강연에서는 지권(地圈)의 4대 요소인 암석, 바다, 대기, 그리고 생명에 대해 다뤘다. 강연 후에는 송영조(KAIST 뇌 과학자)의 과학 퍼포먼스가 이어지면서 관객들의 큰 이목을 끌었다.

포럼 이틀째인 8일에는 평창포럼의 시작을 알리는 출범식이 진행되었다. 출범식 이후에는 ‘평창이 꾸는 꿈, 미래를 위한 제언’을 주제로 이상묵(서울대, 2018 평창포럼 조직위원장) 교수, 앤더스 샌드버그(옥스퍼드대) 교수, 최재천(이화여대) 석좌교수 등 국내외 저명한 석학들이 참석하여 급변하는 지구환경의 현재와 미래를 거시적으로 살피고, 인류의 노력과 미래상을 논의하였다.

출범식 당일 오전에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과 세계 시민교육’을 주제로 정은희(IVECA 국제가상학교 교육센터 대표), 샴샤드 악타(UN 사무차장), 제프리 브레즈(UN 공보국 시민사회협력 수석) 등 국제기구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앞으로의 미래를 위해 인류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 및 문제의식과 실천방안을 공유하기도 했다.

특히, 이번 평창 포럼에서는 ’2020년 동경 올림픽과 ’2022년 북경 올림픽 이슈도 다루어 2018평창동계올림픽 레거시 차원에서 출범한 평창포럼의 의미를 더욱 강조했다.

또한, 평창에서 동경, 북경으로 이어질 북아시아 국가들의 올림픽 개최 반열에서 우리 나라가 선두주자로서의 면모를 드러냈다는 점은 그 의의가 크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평창은 역대 올림픽 개최 도시 중 가장 작은 도시”라며 “이번에 공식적으로 출범한 평창포럼 2018을 통해 세계인의 평화가 번창하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라고, 평창포럼을 다보스포럼에 버금가는 글로벌 포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평창 동계올림픽 직전, 성대한 출범을 알린 평창포럼 2018은 내일 평창포럼 발전 자문회의를 마지막으로 그 막을 내린다. 향후에도 올해를 시작으로 UN과 NGO, 국회, 기업 등과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매년 연례 국제 행사로서 지속 개최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