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공뉴스-충청남도] 4~5년 전쯤부터 연구기관, 학계를 중심으로 푸드 플랜이라는 개념이 생겨났고, 현재는 정부, 지자체가 이를 정책적으로 도입하려 부심하고 있다.

고려대 한두봉 교수는 국가 푸드 플랜을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할 정도다(세계일보 `17.5.2.) 간단히 말하면 푸드 플랜은 한 지역에서 농식품을 생산, 가공, 유통, 소비, 음식폐기물의 환경적 처리까지 지역 내에서 순환되도록 제도적으로 구축해 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푸드 플랜에는 단순한 식품의 수요와 공급 뿐 만아니라 식품 수요자의 안전과 먹거리 기본권, 환경적 지속가능성도 포함된다.

푸드플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내 생산․소비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①계획생산․공급체계 구축, ②지역내 가공 활성화, ③로컬푸드직매장, 학교․공공급식 등 다양한 유통경로 확충, ④소비자 관심제고 및 먹거리복지 실현, ⑤음식물 폐기물 최소화 및 자원화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

푸드플랜을 통해 안전한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취약계층 배려 등 보편적 식품복지 확립, 지역농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푸드플랜 추진을 위해, 충남은 3농혁신정책 과제중의 하나인 ‘충청남도 지역순환 식품체계’ 구축을 위한 로컬 푸드와 학교급식의 연결고리 역할을 위해 도에서 역점적으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육성·운영하고 있다. 학교급식의 성공적인 운영을 바탕으로 공공급식으로 확산하고 최종적으로 ‘지역식품순환’체계를 완성한다는 전략이다.

지역식품순환체계의 핵심적인 인프라는 학교급식지원센터이다. 지난 2011년 당진시를 시작으로 2017년 현재 10개의 203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하였다. 이를 통해 약 22만명의 도내학생들이 이 센터를 통해 지역에서 생산한 신선하고 안전하고 질 좋은 식재료로 급식을 제공받고 있으며 그 비율은 82%에 달한다.

이러한 하드웨어적 인프라 이외에도 운영제도나 시스템은 정말로 이상적이다. 첫째 지자체와 공급자, 소비자간 3각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였다는 점이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광역급식지원센터를 두고 학교급식의 정책을 결정하며 각 센터에는 센터 운영위원회를 두고 있다. 예를 들어 식자재의 공급 단가를 결정한다고 하면 무상급식비를 지원하는 도 공무원과 농가, 영양교사가 한데 모여 적정가격을 산출해 합의하면 이것이 그달의 충남도내 학교급식의 식자재 표준가격이 된다.

둘 째, 친환경 농산물의 작부 체계를 구축하였다는 것이다. 지역에서 생산된 농식품을 지역에서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식품의 수요와 공급을 적정하게 맞추어야 하고 이것은 계절에 구분없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충남은 10개시군에 13개 조직 646농가 및 가공식품 업체를 육성하여 작부체계구축에 성공하였다.

셋째는 학교급식지원 전산시스템의 개발이다. NEIS(나이스) 프로그램과 연동이 가능한 식재료 수·발주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각 학교급식지원센터가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약 6만여 개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식재료의 명칭을 6천여 개로 간소화, 표준화하여 코드화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극대화하였다는 점이다. 이 작업에는 6시군 147명의 영양교사가 30여회의 토론과 협의과정을 거듭하면서 이룩해 낸 성과물이다. 세종특별자치시도 이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한다. 이 시스템 구축에는 3년이라는 시간과 9억여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이러한 충남의 학교급식지원센터는 지역순환식품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모태가 된다. 이미 부여군은 친환경 농산물을 공급하는 로컬푸드, 식품 가공센터, 학교급식포함 공공급식센터를 통합한 로컬 푸드 종합유통센터를 5월 19일 부여군 장암면에 조성하고 개소식을 가졌다. 식재료의 집산과 전처리, 가공, 소분, 수요처별 공급이 한자리에서 일어나는 시스템이다.

학교급식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충남이 완성도 높은 푸드플랜을 이룩해 낼지 전국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이유이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