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공뉴스-문화] 강제로 주권을 강탈하고 통치권을 양여한 일제강점기는 우리에겐 너무도 슬프고 아픈 역사! 그 범람하듯 밀려왔던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망국의 옹주(翁主)로 태어나 눈물과 회한으로 생을 마감했던 덕혜… 결코 잊을 수 없는 우리의 슬픈 역사를 춤으로 무대에 올린다.

오는 4월 27일(목), 28일(금) 오후 7시 30분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에서 열리는 시립무용단 제62회 정기공연‘덕혜(德惠) 나를 모른다 하오…’는 우리민족의 슬픈 역사에 주목했다.

고종의 딸이었고, 조선의 마지막 황녀였던 그녀는 일본에서 반평생을 살아야만 했다. 그나마 15년은 정신병원에 갇혀 지내야 했고, 일본 백작‘소 다케유키(宗武志)’와의 정략결혼에서 이혼…, 그리고 딸의 사망 등 참으로 힘겨운 질곡의 삶을 살았지만, 1962년 꿈에 그리던 고국 땅을 밟지만 정작 그녀를 반겨주는 이는 없는 안타까운 현실과 직면해야만 했다.

결국 실어증과 지병으로 1989년 7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궁에서 태어나 궁에서 생을 마감했으나 그녀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그렇게 사라져갔던 것이다.

이 작품은 이처럼 아픈 기억을 끄집어내는 작업이다. 무대에 올려지는 역사적 인물인 덕혜옹주의 삶을 춤으로 표현함으로 대중이 바라보는 춤으로 표현되는 역사가 또 다른 감동을 줄 수 있다는 마음에서 기획 되었다.

전체 5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1장‘너무도 아련한…’은 조선의 마지막 황녀인 덕혜의 어린시절 행복한 시간을 담고 있다.

2장‘얼어붙은 봄…’은 아버지인 고종황제의 죽음과 볼모로 일본으로 끌러가야 했던 덕혜의 시련을 담고 있다.

3장 ‘혹독한 시련…’은 일본에서의 행복하지 않았던 정략결혼과 하나뿐인 딸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표현하고 있다.

4장 ‘나를 모른다 하오…’는 그토록 바라던 조국에서 버림을 받아 슬퍼하는 장면이다.

5장‘오랜 염원…’은 이미 세월의 풍파를 거치느라 중년이 되어 버린 여인! 조국은 그녀의 안식이며 오랜 염원을 이룬 마지막 자리였다.

김효분 예술감독은 “고종황제의 고명딸로 태어난 조선의 마지막 황녀‘덕혜옹주’의 삶은 통해 우리민족의 슬픈 역사를 돌아보는 시간을 춤으로 표현하고자 한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입체감 있는 무대장치과 조명을 바탕으로, 역동적인 춤사위와 가슴 벅찬 감동을 전할 이번 무대는 대전예술의전당 홈페이지와 인터파크, 시립무용단 홈페이지를 이용해 인터넷 예매가 가능하다.

R석 20,000원, S석 10,000원, A석 5,000원이며 20인 이상은 3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공 연 안 내

     ․ 일시 및 장소 : 4월 27일(목), 28일(금) 19:30 /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
     ․ 예술감독 겸 상임안무자 : 김 효 분
     ․ 주 최 : 대전광역시 / 대전MBC
     ․ 주 관 : 대전시립무용단
     ․ 입 장 료 : R석 20,000원 S석 10,000원 A석 5,000원
     ․ 공 연 문 의 : 대전시립무용단 042) 270-8353〜5, http://dmdt.artdj.kr
                ※ 8세 이상 입장 가능

작품설명

Prologue. 족쇄
내발을 옥죄고 다시 내 온몸을 옥죄는 이 속병은 업일까, 업보의 족쇄일까,
차디찬 쇠창살이 앞을 막아 선 이 그늘진 공간은 어쩌면 나라를 잃었던 그날부터
나에게 또 우리에게 아프게 채워진 족쇄였나 보다
옴짝도 못한 채 끌려가야 했던 서글픈 인생길처럼...

제 1 장 . 너무도 아련한…
조선의 마지막 황녀는 예뻤고 사랑스러웠으며
나라를 빼앗긴 고종에게는 낙이자 웃음이었다.
하지만 그 행복했던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으니
덕혜의 나이 여덟…, 마치 앞으로 닥칠 질곡의 삶을 예고하는 마냥
의문스럽고 갑작스럽게 고종이 승하하게 된다.
돌아보면 그 짧은 시간만이 유일한 위로이자 안식…,
그렇게 그녀에게는 너무도 아련한 기억이었던 것이다.

제 2 장 . 얼어붙은 봄…
그 해…, 이르게 찾아올 것처럼 잠시 따스하던 봄 햇살은
다시금 겨울 끝자락에 얼어붙었다.
마치 열 넷…,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유학이라는 허울에 칭칭 동여매어진 채
볼모로 인질로 내 나라 내 민족과 헤어져
머나먼 일본으로 떠나야 했던 덕혜처럼… .
얼어붙은 봄 마냥 그렇게 덕혜의 삶도 모진 한파에 휘말리고 있었다.

제 3 장 . 혹독한 시련…
늘 고난은 추스를 겨를 없는
빼곡한 협곡처럼 들어차 있고,
늘 시련은 끝도 없이 펼쳐진 망망대해처럼
어둡고 깊숙하게 발밑에 놓여있다.
정략적인 일본 백작과의 결혼도
결코 행복하지 않았던 결혼생활의 파탄도
어렵게 낳았던 하나뿐인 딸의 죽음도
그렇게 덕혜의 심신을 피폐하게 만들었을 터…,
늘 그녀를 괴롭히던 조현병으로 남아
협곡처럼 망망대해처럼 삶을 갉아대고 있었던 것이다.

제 4 장 . 나를 모른다 하오
빼앗겼던 나라를 되찾은
해방의 벅찬 기쁨과 목매인 함성은
현해탄 너머 먼 곳까지 울림이 되어 메아리치는데도
여전히 덕혜는 조국으로 모국으로 돌아갈 길 요원하다.
이미 나라는 그녀를 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였을까….
내 속으로 낳은 아이마저 나를 모른다 하오.
나와 살을 섞은 남자도 나를 모른다 하오.
나를 낳은 나라도 나를 모른다 하오.

제 5 장 . 오랜 염원…
그로부터 강산이 바뀌고 또 바뀔 즈음
비로소 덕혜는 꿈에 그리던 조국의 땅을 밟게 된다.
덕수궁의 꽃이라 사랑받던 어린 소녀에서
세월의 풍파를 거치느라 이미 지쳐버린 중년 여인이 되어…,
그러함에도 조국은 그녀의 마지막 안식이었고 마지막 자리였으며
그리고 오랜 염원이 이뤄지는 감격의 시간이었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