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공뉴스-경기도] 경기도가 농업에도 사회적경제 개념을 도입, 지역사회의 협력과 연대를 통해 동반성장하는 농업을 만들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도는 이 같은 개념을 ‘사회적 농업’이라 정의했는데 사회적 농업은 도가 전국 최초로 정립한 개념이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전략’을 확정하고 올 하반기부터 기업과의 상생협력을 통한 판로확대, 민간자본 유치를 통한 자본확보, 재능기부를 통한 인력확보 등을 추진하겠다고 1일 밝혔다.

도는 사회적 농업이 활성화되면 경기농업의 구조적 문제인 지역농산물 판로의 어려움, 영농자금 부족, 농촌 인력의 고령화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먼저 판로확대는 대기업과의 상생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산물 생산을 이끌어 낸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도는 지난 3월 스타벅스와 농업과 기업이 모두 상생할 수 있는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커피찌꺼기 처리로 고민하던 스타벅스는 이를 유기질 비료로 만들어 도내 농가에 무상 지원해 쓰레기 처리 문제를 해결했고, 도내 농가는 그 비료로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해 스타벅스 임직원에게 판매할 계획이다.
경기도 친환경농업과 관계자는 “기존 기업의 사회공헌이 농가에 대한 기업의 일방적 기부였다면, 도가 추진하는 판로확대 상생협력은 기업과 농업이 협력해 상호 이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며 “올해 안으로 이 같은 상생모델을 추가로 개발해 기업과 협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민간자본 유치를 위해서는 농업분야의 크라우드 펀드 도입이 추진된다. 자금이 없는 개인이나 단체, 기업이 SNS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공개하고 불특정 다수로부터 투자를 받는 방식이란 뜻의 크라우드 펀드는 최근 그리스 돕기 크라우드 펀딩이 100만 유로를 넘는 등 사회적 가치를 위한 투자도 활발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충북 청양의 매실농가들이 메르스로 체험고객이 줄어들고 있다며 크라우드 펀드를 모집 30개 농장에 675명이 투자한 사례가 있다. 이들 농장은 투자자에게 돈이 아닌 매실과 유기농 설탕 등 현물로 보상을 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도는 우선 올해 안으로 사회공헌에 관심이 있지만 개별 참여를 부담스러워했던 도내 유망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회공헌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상당수 중소기업이 경기도에 동참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도는 내년부터 농업 펀드 활성화를 위한 농식품 모태펀드를 도입할 계획이다. 도는 농식품부가 추진 중인 농식품 모태펀드와 협력을 통해 도내 농식품 기업과 농업경영체, 마을기업, 6차 산업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 규모는 약 200억 가량으로 도가 농업발전기금을 통해 100억 원을 투자하고, 나머지는 민간투자를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세 번째, 농가 인력확보는 이미 사회곳곳에 자리 잡은 재능기부문화를 농업에 접목시켜 확대하는 방안이다. 기존 1사 1촌이나, 농촌농사활동이 단순한 인력지원에 머물고 있다면 도가 추진하는 재능 기부는 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과 컨설팅 등으로 한 발 더 발전된 구상이다.

실제로 지역산업진흥학회는 농가레스토랑이란 사업을 통해 식당운영에 관심 있는 60여개 농촌마을에 조리법과, 경영기법, 고객응대 등의 교육을 실시하며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밖에도 도는 고령화된 농촌의 인력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손 돕기를 희망하는 기업·단체와 일손이 필요한 농업현장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일손 돕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산발적이고 개별적으로 이뤄지는 농촌일손돕기 사업을 좀 더 체계화시켜 일손이 필요한 곳에 제때 일손을 지원하도록 한다는 취지다.
송유면 경기도 농정해양국장은 “경기도의 사회적 농업 활성화 전략은 베이버부머 세대의 조기은퇴에 따른 사회적인 문제를 농업을 통해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농촌의 발전을 위해서 마련한 것.”이라며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통해 농업·농촌이 재도약 할 수 있도록 기업·시민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불교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